본문 바로가기
[SW테스트 기출][파이썬] 13458 시험감독 브론즈2 로 아마 역량테스트 중에 가장 쉬운 문제일것같다. 하지만.. 시간초과 가 났다. while문 대신 나누기로 바꿔서 해결했다. num = int(input()) nums = 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b, c = map(int,input().split()) count = 0 for i in nums: count +=1 mans = i - b if mans >0: if mans % c == 0: count += mans//c else: count += (mans//c)+1 print(count) 2020. 5. 2.
[SW 역량테스트 기출][파이썬] 14499번 주사위 굴리기 삼성 역테 문제 테트로미노(?) 랑 유사한 부분이 있다. 삼성역테는 많은 경우의 수를 직접 해야하지만, 그것을 좌표화 시켜서 빠르게 처리하는 능력을 보는 문제들 있는거 같다. 주사위 굴리기 문제도 처음에 접근했을떄 그 상황마다 모두 고려하며 코드를 짜려고 했다. 하지만 그렇게 되면, 코드가 더러울 뿐만 아니라, 하다가 너무 많아서 포기하게 된다. 하지만 밑 처럼 다음 이동을 좌표화 시켜서 푼다면 편하다. 다른 문제들에서도 상황상 복잡해 보인다면 좌표화 시키는 것을 활용해보자!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,m, x,y,num = map(int,input().split()) map1 = [] for _ in range(n): a = list(map(int,input().split.. 2020. 5. 2.
[백준][파이썬] 3190 :뱀 [핵심] 1. 뱀의 형태를 deque로 저장하기 처음에 True false 맵으로 뱀의 상태를 저장하려 했으나, 뱀의 움직임을 고려하는것이 매우 복잡했다. FIFO 이러한 형태의 문제를 잘 기억할것 2. if 와 elif는 다르다. if와 elif의 차이를 정확히 기억하자(이것때매 오류 발생) -다시 검토하고 싶을 땐 if 두번 -다시 검토 아닐때 if , eilf 3. time을 언제줄지도 중요!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um = int(input()) map1 = [[0 for i in range(num)] for j in range(num)] gogo = deque() capple = int(input()) # 사과의 수 #dchange = [] # 사과 저장 for .. 2020. 4. 28.